꿈은 자유와 행복의 첫걸음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고-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어 보셨나요?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는 동화입니다. 어른들이 뭔 동화냐고 하겠지만, 어른들에게까지도 감동적인 동화입니다.

이 동화의 주인공은 ‘입싹’입니다. 양계장에서 수많은 암탉들 속에서 매일 알을 낳아야 하는 암탉입니다. 주인이 매일 먹이를 주고 살 걱정 없이 해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닭들은 그저 그럭저럭 살아갑니다.

그러나 입싹은 꿈을 꾸는 암탉입니다.

알에서 병아리를 태어나게 하고 싶어합니다. 또 대부분의 닭들이 날개를 가졌음에도 날기를 포기하고 살지만, 입싹은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싶어합니다. 양계장 밖의 수탉이나 암탉처럼 마당에서 마음껏 걸어 다니고 자연의 향기를 맡고 싶어합니다.

양계장 속은 늘 모이 냄새와 똥 오줌 냄새로 가득하고 새로운 일이란 하나도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은 하나도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입싹’은 더 이상 알을 낳지 않습니다. 알을 못 낳는 닭은 팔려나가거나 추운 들판에 버려지는데, 입싹은 들판의 구덩이에 버려지는 신세가 됩니다.

그 깊은 구덩이 속에서 족제비의 피비린내 나는 눈빛을 피해가며 살아 남습니다. 입싹은 마당의 동물들과 같이 생활을 하게 되지만 거기 있는 동물들은 입싹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당을 자유롭게 뛰어다니는 동물들이지만 넓은 들판이나 호수, 산으로는 겁이 나서 가질 못합니다. 양계장에서 보았을 때는 자유롭게만 보였던 마당이, 사실은 양계장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을 깨달은 입싹은 다시 들판으로 뛰쳐 나갑니다.

들판에서 주인 잃은 알을 발견하고 품게 됩니다. 자신은 더 이상 알을 낳지 못하므로 그 알을 정성껏 품어서 마침내 청둥오리를 태어나게 합니다. 온갖 정성을 다 기울여 어미로서 자식을 훌륭히 키워냅니다. 결국 그렇게 바라던 소원을 이루게 된 것입니다.

청둥오리는 겨울이 되어 어미 입싹의 소원대로 북쪽으로 날아가게 되고 나이 든 입싹은 스스로 굶주린 족제비들의 먹이가 됩니다. 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한 어미 족제비의 심정을 알기 때문이었습니다. 비참한 입싹의 최후에 눈물이 앞을 가리지만, 입싹은 두 번째 꿈을 드디어 이루게 됩니다.

“눈앞이 차츰 밝아지기 시작했다. 눈을 뜨자 눈부시게 파란 하늘이 보였다. 정신도 말끔하 고, 모든 게 아주 가붓했다. 그러더니 깃털처럼 몸이 떠오르는 게 아닌가! 크고 아름다운 날개로 바람을 가르며 입싹은 아래를 내려다 보았다. 그랬다. 모든 것이 아래에 있었다. 저수지와 눈보라 속의 들판, 그리고 족제비가 보였다. 비쩍 말라서 축 늘어진 암탉을 물고 사냥꾼 족제비가 힘겹게 걸어가고 있었다.”

입싹은 훨훨 날게 되는 꿈을 이룬 것입니다. 비로소 자유와 행복을 찾은 것입니다. 정말 감격스러운 장면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만약 입싹이 그냥 다른 닭들처럼 양계장에서 그냥 알만 낳다가 죽었다고 하면 그렇게 자유롭고 행복할 수 있었을까요?

“꿈은 꾸는 자만이 이룰 수 있다.” 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분들이 항상 꿈을 크게 가지시길 기원합니다.

사람들은 나이가 들수록 꿈이 작아진다고 합니다. 나이 먹어서 꿈을 버리지 못하면 이상한 사람 취급받기 쉽습니다.

그러나 죽는 순간까지 꿈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은 언젠가 그 꿈을 꼭 이룰 수 있다고 합니다. 입싹처럼 말입니다.

항상 꿈을 크게 갖고, 항상 그 꿈을 위해서, 어떤 어려움이 와도 꿋꿋이 견디고 노력하는 우리 모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osted by 원추리7
,